| ||||
|
시민이 주도하는 선거보도는 불가능한 것인가. 언론의 선거보도에 쏟아지는 비판은 궁극적으로 선거보도가 시민민주주의에 전혀 기여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시민은 배제한채 언론과 후보자들간에만 쟁점과 이슈를 주고 받는식의 보도 양태를 보임에 따라 결과적으로 ‘시민’이 없는 선거, 나아가 참여민주주의라는 대의를 손상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위한 움직임은 미국의 일부 지방을 중심으로 현재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90년대 초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이른바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논의는 아직 초보적이다. 일부 언론사는 이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 수입이나 영향력 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른바 시빅 저널리즘(Civic Journalism), 혹은 퍼블릭 저널리즘(Public Journalism)으로 불리는 시민저널리즘은 한 마디로 언론이 객관보도라는 철학을 벗어나 시민들을 직접 조직하고 지역사회의 현안이나 문제점에 대해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해야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비단 선거보도 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지역사회의 관심사와 쟁점도 모두 시민저널리즘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같은 논의는 미국지역에선 ‘운동’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시민저널리즘은 지역사회, 언론사, 시민등 3요인을 주체로 설정한다. 언론사는 지역사회를 단순한 취재대상으로만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자신의 문제에 대한 정책결정에 참여하고 토론을 해야 하는 적극적인 공간으로 해석한다. 시민들도 수동적인 존재에서 벗어나 참여자로서의 기능에 비중을 더 둔다. 뉴스를 보도하는 것이 고전적인 의미에서의 ‘언론’이었다면 이제는 시민들이 지역사회와 유기적인 관계를 갖도록 고무하는 작업까지 떠 맡아야 한다는 것이 시민저널리즘에서의 ‘언론’기능이다.
가령 선거 과정에서의 여론조사 문제를 보자. 기존에는 대상자들에 대한 일회적인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곧바로 언론에 보도했다. 그러나 시민저널리즘은 통상적인 여론조사 방법을 탈피해 일차 조사를 끝낸후 대상자들에게 현안에 대한 토론자료등을 제공하고 서로의 관점을 비교한 다음 여론조사를 다시 실시한다. 그리고 이를 보도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지역현안에 깊이 참여하는 기회를 얻게 된다. 기자들도 더 이상 발생한 사건만 보도하는 ‘단순전달자’에 머무르지 않는다. 공공모임을 조직하고 여론조사, 원탁회의 등을 통해 언론이 지역사회와 시민을 연결하는 강력한 연결고리로 자리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시민저널리즘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신문이 이미 1백 70여개에 달한다. 이 운동을 벌이고 있는 신문사들의 경우 대부분 독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을 뿐 아니라 경영 수입면에서도 적지 않은 성공을 거두었다. 물론 이러한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언론의 신뢰성을 해치고 개인의 주관적인 방향설정으로 인해 언론매체를 편파적인 논쟁의 도구로 전락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시민저널리즘 옹호론자들은 언론의 객관성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신화일 뿐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